나모 땃사 바가바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다싸.
사두띠 반떼, 마얌 바가반땀,
삿타람 삽빤뉴딴냐남,
사사나싸 다자부땀,
단다다뚬 뿌자야마.
붓다싸 단다다뚬,
붓다비세카뭇따마,
안잘림 빡가헤뜨와나,
빠산나칫데나 뿌자야마.
아난다 테라 딘나니,
빠왓타니 마힛디카니,
닷타다뚬요 반다마,
삼마삼붓다뿌지따.
야 닷타 칸다또 잣따,
시하사네 닌닌나싸,
타타가따싸 다뚬요,
반다미 땀 지나싸함.
야 닷타 무카또 잣따,
담마착캄빠왓띠노,
빠방카라싸 로깟사,
뿌자야미 마하무네.
이마히 뿌자가타히,
삭카람 카로마함,
닷타다뚻싸 빠모자,
수키땀 호뚜 삽바다.
뿌자나라함 마하테라,
담마사미 빅쿠바라,
삿다야 빡가히또 훗와,
뿌제띠 지나다뚬요.
한국어 번역:
“그 복되시고, 아라하시며, 완전히 깨달으신 세존께 경배합니다.”
“훌륭하십니다, 존자시여. 우리는 세존이시며,
모든 것을 아시는 지혜의 스승이시고,
가르침의 깃발이시며,
부처님의 치아 사리를 공경합니다.
부처님의 치아 사리여,
부처님의 최상의 성스러운 상징이시여,
공손히 합장하고 청정한 마음으로
우리는 공경을 드립니다.
아난다 존자가 전하신,
위대한 신통력의 치아 사리여,
우리는 경배하나니,
완전한 깨달음의 부처님께서 공경하신 것입니다.
사자좌에 앉아 계신
여래의 몸에서 나온 치아 사리여,
나는 그 위대한 승리자의 사리를 경배합니다.
법륜을 굴리신
세상의 빛이신 위대한 성자의
입에서 나온 치아 사리여,
나는 공경을 드립니다.
이 공경의 게송으로,
우리는 존경을 표하나니,
치아 사리의 기쁨으로
모두가 언제나 행복하기를.
공경 받으실 마하테라,
법의 스승이신 뛰어난 비구여,
믿음으로 정진하며,
승리자의 사리를 공경합니다.”
이 번역은 팔리어 원문의 의미를 존중하면서도 한국어의 자연스러운 표현을 고려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필요에 따라 의역과 직역을 조화시켰으며, 불교 용어는 한국 불교에서 통용되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비쿠 담마사미 (인다소마 시리단타 마하팔라)"
해설:
"Bhikkhu" → "비쿠" (상가의 승려를 의미하는 팔리어로, 한국 불교에서도 통용되는 표현)
"Dhammasami" → "담마사미" (법(Dhamma)과 스승(Sami)을 결합한 존칭)
"Indasoma" → "인다소마" (인드라(Indra)와 소마(Soma, 달 또는 신성한 음료)의 합성어로, 고귀한 의미를 가진 이름)
"Siridanta" → "시리단타" (행운(Siri)과 치아(Danta)를 의미, 부처님 치아 사리와 연결될 수 있는 이름)
"Mahāpāla" → "마하팔라" (위대한 수호자, 'Mahā' = 위대한, 'Pāla' = 보호자)